트럼프-김정은 회담 가능성 대비 관측도…“긴장 고조 차단 위한 예방 조치”

▲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
▲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

유엔군사령부와 통일부가 오는 31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에 외부 인사의 판문점 특별견학을 중단하기로 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20일 정례브리핑을 자처하고 “10월 말에서 11월 초에는 통일부가 실시하는 판문점 특별견학은 없다”고 밝혔다. 이 조치는 유엔사 요청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는 판문점 출입 승인 권한을 지닌 유엔사와의 조율 하에 내국인 ‘정책 고객’ 등을 대상으로 특별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최근에는 매일 2회, 일일 총 40명 정원으로 운영 중이었다.

유엔사도 이 기간 외국인 대상의 특별견학을 시행하지 않아 이번 특별견학 중단 조치는 유엔사 주도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유엔사와 통일부가 APEC 기간 판문점 특별견학을 실시하지 않는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APEC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북한의 김정은과의 회담 가능성이 점쳐지기도 한다.

2019년 6월 당시 깜짝 북미회동과 이를 위한 사전 접촉이 모두 판문점을 무대로 이뤄진 만큼, 이번에도 만일의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에 실무적으로 대비하는 차원일 수 있다는 것이다.

CNN 방송도 미 행정부 내부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아시아 순방 때 김정은을 만나는 문제에 대해 비공개로 논의가 이뤄진 바 있다고 지난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다만, 통일부와 유엔사는 특별견학 중단 배경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있다.

판문점 자체가 유엔사가 관할하는 지역이어서 특별견학에 대한 모든 권한은 유엔사가 갖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외부인의 판문점 출입을 통제하려는 것은 각국 정상들이 대거 방한하는 상황에서 북한의 돌발 행동으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될 가능성을 줄이는 차원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정모 기자
김정모 기자 kjm@kyongbuk.com

서울취재본부장으로 대통령실, 국회, 정당, 경제계, 헌법재판소, 중앙부처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