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내년을 지역 성장의 분수령으로 삼기 위한 대형 프로젝트를 내놓고 본격화하고 있다. 대구경북신공항의 조속한 추진, 영일만항 확충, 미래 신성장 산업 육성, ‘포스트 APEC’ 사업, 산불 피해지역의 재창조 등이 핵심이다.
청사진만 놓고 보면 지역 균형발전의 방향은 명확하다. 그러나 문제는 ‘어떻게 실행하느냐’다. 계획이 아무리 크더라도 현장에서 움직이지 않으면 변화는 없다. 지금 경북이 맞닥뜨린 과제는 더 많은 비전이 아니라 실질적 실행과 성과의 축적이다.
그동안 지방의 대형 프로젝트는 화려한 출발 뒤에 속도와 일관성을 잃기 일쑤였다. 자칫 사업 간 연계가 부족하고 부처나 지자체 간 이해가 엇갈리면서 계획이 성공하지 못하게 된다. 신공항과 항만 등 인프라 확충이 산업으로, 산업이 일자리로, 일자리가 지역 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실행 거버넌스의 강화다. 경북의 전략 과제는 도 단위 행정만으로는 추진이 어렵다. 정부의 예산 지원, 시·군의 현장 집행, 대학과 기업의 참여가 맞물릴 때 효과가 나온다. 이를 조정할 상설 협의체와 전담 조직이 필요하다.
또한 성과 중심의 관리 체계가 정착돼야 한다. 지금까지 지방의 많은 사업은 예산 집행률 등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진짜 성과는 지역 산업의 체질이 바뀌었는가, 일자리가 늘었는가로 판단해야 한다. 경북도는 각 사업에 명확한 성과지표를 설정하고 정기 점검 시스템도 구축해야 한다.
청년 참여를 중심에 둔 혁신 생태계 조성도 필요하다. 대학의 연구, 기업의 기술, 지자체의 정책이 하나의 체계로 연결돼야 한다. 청년이 현장에서 배우고 일하며 성장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돼야 진정한 지역혁신이 가능하다.
민간의 자율적 참여 역시 성패를 좌우한다. 신산업 육성은 행정의 지시로 움직이지 않는다. 규제 완화, 세제 지원, 민관 공동 연구개발 등 현실적인 유도책이 병행돼야 한다.
아울러 성과의 확산 구조 구축도 필요하다. 경주 APEC의 성공 경험을 ‘포스트 APEC’ 프로젝트로 이어가겠다는 구상은 좋은 출발점이다. 국제행사의 유산을 관광, 문화, 산업으로 연결하면 지역의 지속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 기자명 경북일보
- 승인 2025.11.12 16:36
- 지면게재일 2025년 11월 13일 목요일
- 지면 19면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