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열 군위군수, 대통령에 직접 건의…토지 보상·설계 위한 재원 지원 요청
“기부 대 양여 한계 분명…국책사업 수준 대응 필요” 신공항 속도전 분수령

▲ 김진열 군위군수가 1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시장·군수·구청장 초청 국정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군위군
▲ 김진열 군위군수가 1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시장·군수·구청장 초청 국정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군위군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이 ‘속도전’의 갈림길로 들어섰다.

김진열 대구 군위군수는 1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 주재 국정설명회에 참석해 내년도 정부 예산에 신공항 사업비 반영을 강하게 요청했다. 예산 반영이 지연되면 사업 전체의 추진 동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현장의 우려가 직접 전달된 셈이다.

이날 자리에는 이재명 대통령을 비롯해 국무총리, 경제부총리, 행정안전부 장관, 지방시대위원장 등이 참석했으며, 전국의 민선 8기 기초단체장들도 함께해 지역 현안을 보고하고 의견을 나눴다.

김 군수는 대통령에게 “대구경북신공항은 이미 이전지 확정 5년차에 들어섰다”며 “토지 보상과 기본·실시설계 착수 단계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이어 “기부 대 양여 방식의 한계가 명확해진 만큼 공자기금 등 가용 재원을 활용해 신속히 보상과 설계가 진행되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군위군 내부에서도 이번 국정설명회를 중요한 계기로 평가하고 있다. 장판철 기획감사실장은 “이번 만남은 대구경북신공항의 조속한 추진을 위한 절차적 협의와 정부의 지원 요청을 위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김 군수가 대통령에게 직접 지역 현안을 건의한 만큼, 향후 예산 반영 논의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신공항 추진 과정에서 ‘기부 대 양여’ 방식은 그간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돼 왔다. 토지 보상비와 설계비 등 초기 재원마저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면 공정 전체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국책사업 수준의 재정 투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김진열 군수는 “대통령과의 면담을 계기로 신공항 예산 반영을 지속적으로 건의하겠다”며 “지역사회와 협력해 사업이 실제로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은 대구·경북의 미래 성장축을 결정할 핵심 인프라로 꼽힌다. 이번 군위군의 움직임은 ‘정치적 요구’가 아닌 ‘현장 필요’에 기반한 목소리라는 점에서 더욱 무게를 갖는다. 지역의 오랜 숙원인 신공항 건설이 이번 예산 심의 과정에서 어떤 결론을 맞을지, 그리고 정부가 어떤 형태로 책임 있는 지원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이만식 기자
이만식 기자 mslee@kyongbuk.com

군위 의성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