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현역 단체장을 정량지표·여론조사·개인 프레젠테이션(PT)을 기반으로 평가해 공천 적격 여부를 판단하기로 했다. 다음달 중 시도지사와 기초 단체장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할 방침으로 국민의힘 선출직 공직자 평가혁신 태스크포스(TF)가 꾸려진다.

TF가 밝힌 것을 보면 선출직 공직자 평가는 현역 광역·기초단체장에 대해 정량지표(50%), 여론조사(30%), 개인 PT(20%)에 가·감점(-10∼+10점)으로 이뤄진다. 정량지표는 △경제 지표(지역고용률·예산 확보·기업 유치·물가 대응·재정 지표) 40점 △리더십 지표(단체 청렴도·주민 소통·언론 및 SNS·지역안전 등급·공약 추진율) 30점 △당 기여 지표(현장 행보 평가·당 공조 평가) 30점으로 구성된다. 지역별로 다른 정치·경제적 상황을 감안해 전국 단위 일괄 순위 부여 대신 단체장의 임기 시작점 또는 민선 7기 성과를 기준으로 민선 8기 변화율을 측정한다.

특히 국민의힘은 단체장이 직접 자신의 임기 중 주요 성과를 설명하는 개인 PT를 도입하기로 했다. 단체장 PT에서 ‘컷 오프’ 대상자가 걸러질 것으로 국민의힘 내에서는 보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번 컷오프 대상자 감별에서 본인 비위는 물론 친인척 비리로 기소된 자나 지역 유권자들의 악성 소문 등도 엄격히 가려야 한다.

당은 조만간 평가 체계를 확정, 당헌·당규 제·개정을 한다. 그러나 특정 후보자의 유불리 문제를 뛰어넘어 정당 공천 기준에 대한 논란은 확산할 것이다. 선거 득실 계산과 정당권 중구난방이 가세해 공천 기준이 뒤죽박죽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문제다.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은 2008년 총선에서 뉴타운 공약으로 서울 48개 선거구 중 23곳에서 승리한 바 있다. 경북·대구지역에 대해 획기적인 지역발전 전략을 마련하길 기대한다. 아울러 개혁공천이 옳은 방향이다. 내년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서는 일부 단체장 후보 물갈이가 필요하다. 공천 배제자를 가려내는 혁신 공천이야말로 야당의 선거승리에 필요조건이다. 과감한 개혁 공천으로 국민의힘을 떠난 과거 지지자들을 다시 불러와야 할 때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