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APEC·산불 대응·SOC 등 핵심 현안 예산 확보 집중
“지역 생존과 미래 위한 투자, 어떤 상황에서도 멈출 수 없다”

▲ 경북도청 전경.
▲ 경북도청 전경.

경북도가 내년도 국가투자예산 확보를 위해 국회를 잇달아 찾으며 주요 현안 사업에 대한 지원 요청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주 양금희 경제부지사를 시작으로 18일 김학홍 행정부지사, 19일 김호진 기획조정실장이 연이어 국회에서 예결위원들을 만나 각 사업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도는 이번 대응을 통해 포스트 APEC 지역 전략사업, 산불 대응 후속사업, 핵심 사회간접자본(SOC) 등 주요 현안의 국비 반영이 지역 발전의 핵심 과제라고 설명했다. 양 부지사는 경제·산업 분야의 주요 사업을 중심으로 예결위 소속 여야 의원들에게 협조를 요청했고, 김 부지사는 포스트 APEC 전략과 산불 관련 예산 확보 필요성을 중점적으로 전달했다.

이어 19일 국회를 찾은 김호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안별 추진 배경과 필요성을 실무 차원에서 자세히 설명하며 지속적인 관심을 요청했다. 그는 APEC 정상회의 개최 경험을 바탕으로 경북이 문화·관광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후속 사업 추진을 위한 국비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또 대형 산불 피해 이후 제정된 산불특별법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복구 단계를 넘어 피해 지역을 미래 성장 기반으로 전환하는 예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재정 여건이 어려울수록 지역의 생존과 미래를 위한 투자는 중단할 수 없다”며 “경북의 핵심 사업이 국가적 필요와 연결되는 만큼 국회 심의가 마무리될 때까지 모든 실·국이 책임감 있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올해 국비 확보를 지역경제 활성화와 미래 성장동력 마련의 핵심 목표로 삼아 국회 대응 체계를 강화해 왔다. 도는 앞으로도 국회 및 중앙부처와 협력을 이어가 2026년도 국가투자예산 확보와 주요 현안 추진에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양승복 기자
양승복 기자 yang@kyongbuk.co.kr

경북도청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