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극 3특 메가시티 전략’ 강조…울산, 제조·AI 중심지 도약 비전 부각
김민석 국무총리는 19일 “지방재정, 주민자치, 자치입법 등 지방정부(지방자치단체)의 실질적 자치권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울산광역시(시장 김두겸) 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의 개막식 기념사에서 “전국 어디서나 국민의 삶이 고르게 보장받고, 모든 지역이 조화롭게 성장하는 나라”를 만들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총리는 “수도권으로 인구와 자원이 과도하게 집중돼 있고 지방은 고령화, 인구 감소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면서 “이대로는 안 된다.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추진하는 ‘5극 3특’ 중심의 균형성장전략을 거론하며 “초광역 단위로 전략산업을 선정해 패키지로 지원하고 인재 육성, 창업벤처 생태계 지원을 통해 선순환하는 경제를 실현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초광역 단위가 하나의 생활권으로 연결되도록 거점 도시를 연결하는 교통망을 구축하고 주거·의료·복지 서비스를 연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행사가 울산에서 열려 “더 특별한 의미가 있다”면서 “산업화의 심장이었고, 이제 AI(인공지능)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에서 김경수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는 (지방)의 이 위기를 정면으로 돌파하고자 한다”며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국가균형성장 전략인 ‘5극 3특 권역별 메가시티 전략’을 국정의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고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5개 권역별 메가시티와 3개 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수도권 일극 체제를 극복하겠다. 운동장을 넓게 써야 한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가야할 길”이라고 강조했다.
김두겸 울산시장도 이날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환영사에서 “울산은 1997년 광역시 승격 이후,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비철금속 등 울산의 4대 주력산업은 국가 경제를 이끌어 왔다”며 “‘AI 수도 울산’은 산업 전반에 AI를 접목하고 제조혁신으로, 대한민국 제조 AI수도로 전환하는 데 온 힘을 쏟고 있다”고 소개했다.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는 19~21일 사흘간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를 개최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