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또다시 중대 산업재해가 발생했다. 불과 몇 달 사이 세 건의 사망·중상 사고가 이어졌다. 결국 포스코는 포항제철소장을 전격 보직 해임하고 회장 직속 ‘그룹안전특별진단TF’를 가동하는 등 초강수 인사 조치에 나섰다. 책임을 묻고 안전 경각심을 되살리려는 조치이지만 반복되는 인명 사고를 고려하면 근본적 안전혁신이 절실하다.

지난 20일 사고는 야외 슬러지 청소 작업 중 작업자 3명이 유해가스에 노출돼 심정지 상태에 빠진 사건이다. 지난 5월과 3월에도 포항제철소에서는 유형이 다른 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사고의 원인도 설비 노후화, 안전관리 부실, 위험작업 외주 업체 작업 등 복합적이다. 문제는 개별 사고의 원인은 다르지만 ‘예방 가능한 사고’였다는 점에서 안타까움이 크다. 포스코의 현장 안전 시스템이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지 않은 지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

포스코는 안전 전문 자회사 포스코세이프티솔루션의 대표를 TF 팀장으로 임명하고 전사적 안전진단과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을 약속했다. 위험작업에 안전관리자 필수 배치, 외주·하도급 안전관리 강화 등도 포함됐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은 그간 반복해온 ‘개선 약속’과 크게 다르지 않다.

산업현장 안전관리는 최고경영진의 의지와 문화가 핵심이다. 안전관리 인력 부족, 외주업체에 대한 감시 미흡, 안전설비 투자 소홀 등은 결국 인명 피해를 부르는 구조적 요인이 된다. 포스코는 전사적 안전 패러다임을 재정립해야 한다. △설비·공정 전 주기의 안전 리디자인 △작업 중지권 보장 △안전 예산의 의무적 비율 확보 △사고 은폐·축소 시 무관용 원칙 △위험작업 외주화 구조의 전면 재검토 등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생산성과 안전은 양립할 수 없다’는 낡은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안전은 생산의 필수 전제다.

포항제철소는 국가산업과 지역경제의 중추다.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불안하지 않게 최선의 안전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 포스코는 잇단 사고로 무너진 국민 신뢰를 회복하려면 특단의 안전 혁신이 필요하다. 이번만큼은 진짜 달라졌다는 것을 보여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