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간 141명 분석 결과 위험 상황 반복…2차 지원 대상 730명 모집
정부 “2029년 신차 의무화…고령자 교통안전 체계 강화한다”
고령 운전자들의 급가속 오조작 위험이 통계로 드러났다. 경찰청과 한국교통안전공단의 분석 결과,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를 장착한 고령 운전자 141명에게서 3개월간 71건의 급가속 오조작 의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순간이 반복됐지만, 장치가 즉시 개입하면서 모든 사고는 원천 차단됐다.
23일 경찰청에 따르면 공단은 지난 7~9월 고령 운전자 지원 대상자들의 장치 작동 기록을 분석했다. 시속 15km 이하에서 가속페달을 80% 이상 밟거나, 주행 중 엔진 회전수가 4500rpm에 급상승한 경우가 대표적 오조작 사례로 분류됐다. 장치는 이러한 급가속 시도를 자동 제어해 차량을 안정 상태로 전환해 사고를 막았다.
1차 보급사업의 예방 효과가 명확히 확인되면서, 정부와 관계기관은 12월 1일부터 서울 등 7개 광역시에서 고령 운전자 730명을 대상으로 2차 지원 대상자 모집에 나선다. 신청자는 운전면허증·차량등록증 등을 12월 19일까지 교통안전공단 지역본부에 제출하면 된다.
최근 고령층의 페달 오조작 사고는 사회적 불안을 키우고 있다. 지난 13일 부천 제일시장에서 67세 운전자의 오조작으로 4명이 숨지고 18명이 다친 데 이어, 17일 인천에서도 70대 운전자가 인도로 돌진해 모녀 2명이 중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전국 고령 운전자는 서울 93만 명, 부산 33만 명 등 주요 도시에서 최소 12.8%~16.6% 비중을 차지하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국토교통부는 2029년부터 승용차·소형 화물 신차에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의무 장착을 예고했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첨단 안전장치 확대는 고령자 교통안전 정책의 핵심”이라며 “급가속 사고를 사전에 막는 안전체계 구축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정용식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지원 대상 확대와 의무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