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간제 인력 중심 수거 현실 드러나…해양쓰레기 대유입 대비 체계 시급
“정교한 교육·합동훈련 필요”…해경·포항시 협력 강화 요구 높아져
속보 = 포항 해안가에서 발견된 물질 (경북일보 11월 7일 자 단독 보도 등) 모두가 마약류로 확인된 가운데, 포항시 등 유관기관에서 실제 마약 발견 상황을 가정한 훈련이 열리지 않아 협력체계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번 발견 사례 3건 중 2건이 민간단체의 발견, 나머지는 일반 주민의 발견인데 해양쓰레기를 상시 수거하는 유관기관의 인원 등을 포함해 긴밀한 협력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당위성에서다.
24일 포항시 등에 따르면 시는 해안가를 끼고 있는 12개 읍·면·동 산하에 6개월 단위 기간제 근무자를 뽑아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다.
특히 일부 읍면동은 여름철과 파도 등 해류 흐름 유입으로 해양쓰레기가 폭증하는 기간에는 별도 공공근로자를 투입해 인원 보강을 실시 중이다.
문제는 최근 제주는 물론이고 포항에서만 3차례 차봉지에 싸여진 마약류가 발견됐으나 민간단체와 이들 수거 인원 등을 총괄해 실제 상황을 가정한 훈련이 열리지 않았다는 점이다.
자발적이고 봉사 취지를 가진 민간단체에 마약류 발견을 의존할 수 있다는 우려도 띄고 있는데 포항시가 보유하고 있는 기간제 인원만 총 60여 명 수준이다.
더욱이 앞서 포항해경 차원에서 지난 20일 대단위 유관기관 대책이 열리기도 했으나 단순한 홍보와 연락망 구축에 그쳐 향후 파도 유입이 바뀌는 등으로 인한 해양쓰레기 대유입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선 특단의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태다.
한개 읍면동에서만 지난 10월말에서 11월 초까지 최대 일일 90t에 이르는 해양쓰레기가 배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포항시 읍면동에서 수거된 해양쓰레기는 흥해읍 용한리 일원에 위치한 임시야적장에 적재돼 별도 폐기물 업체에 맡겨져 처리되는 수순이나 이 역시도 추가적인 선별 과정이 이뤄지는 호동매립장 등 소각 과정을 밟지 못한 채 거부당하고 있다는 것.
또한 시 산하 기간제 근무자들이 현실적으로 폐목, 각종 쓰레기 분류가 촘촘히 이뤄지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현장 체감되고 있어 추가적인 보강이 요구되기도 한다.
아울러 마약류에 대한 특징과 선별이 정교하게 필요하다는 별도 교육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돼 개선이 시급하다.
24일 오전에도 울진해경이 해안가 합동 수색 중 영덕군 병곡면 백석 해변에서 포항 등에서 발견된 케타민 포장 형태와 같은 마약류 추정 물질 약 1kg를 발견하면서 훈련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해경 관계자는 “아직 마약류 발견을 가정한 훈련이 마련되지 않았고 우선 검토하겠다”며 “이번주에 2차 마약류 물질 수색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포항시 관계자는 “별도 협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며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