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희생자 위령사업·재선충병 방제·벼 병해 피해·포스코 사고 대응 등 지역 현안 한목소리
“불합리한 보상기준 개선…군용비행장 피해 지역 간 형평성 바로잡아야”

▲ 본회의
▲ 본회의

포항시의회가 ‘군 소음 피해지역 차별철폐 및 공정보상에 대한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고, 수십년간 군용 비행장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공정한 보상을 촉구하고 나섰다.

포항시의회(의장 김일만)는 24일 제326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를 열고, 포항시 공공자금 운용 및 관리 조례안 등을 의결한 뒤 ‘군 소음 피해지역 차별철폐 및 공정보상에 대한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또 본회의에 앞서 최광열·조민성·김상백·김은주 의원이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지역 현안과 관련한 의견를 내놓았다.

▲ 최광열
▲ 최광열

최광열 의원은 포항시의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사업이 형평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며, 보도연맹사건 관련 희생자 위령탑 건립 및 예산안 마련 등을 촉구하고 나섰다.

포항보도연맹사건은 한국전쟁 당시인 지난 1950년 7월부터 9월까지 구룡포 대보 등지에 주민 166명을 예비검속하거나 소집한 뒤 동해안 지역에 수장하거나 총살한 사건이다.

대법원은 지난 2009년 과거사정리위원회가 이들이 경찰 등 국가공권력에 의해 희생됐다는 진실규명결정을 내렸고, 2012년 유족들이 이를 근거로 국가상대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해 대법으로부터 승소판결을 받았다.

▲ 조민성
▲ 조민성

조민성 의원은 날로 확산되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신속한 대응체계 마련·재해 예방 중심으로 예산 구조 전환·수종 전환 및 생태복원사업 포함 등 과학적이고 지속 가능한 산림관리체계로의 전환을 촉구했다.

▲ 김상백
▲ 김상백

김상백 의원은 이상 고온과 가을장마로 포항 벼 전체 재배면적의 80% 이상 깨씨무늬병이 발생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복잡한 보상 절차·중복 지원 제한 규정 등으로 피해 구제가 어렵다며 재해보상제도개선을 주장했다.

▲ 김은주
▲ 김은주

김은주 의원은 포스코가 최근 잇따른 재해사고로 인해 자체 발주공사를 무기한 연기하면서 지역 노동자와 협력업체 등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며 △포스코의 사고 재발 방지 종합대책 및 일부 잠정 중단된 사업장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 마련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포항시의 산업·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관련 구체적인 실행계획 수립 및 추진을 주문했다.

이어 본회의에서는 △포항시 공공자금 운용 및 관리 조례안(김하영 의원 대표발의) △포항시 6‧25참전 학도병의 날 조례안(전주형 의원 발의) 등 의원발의 조례안 6건과 포항시장 제출 조례안 16건 등 60건을 통과시켰다.

의회는 안건 심의가 끝난 뒤 현행 군소음보상법이 불합리한 피해보상기준과 지역간 불평등 및 주민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며, 군용비행장 소음대책지역 소음영향 기준 조정 및 공정하고 일관성 있는 피해보상 체계 확립을 촉구하는 ‘군소음 피해지역 차별철폐 및 공정보상에 대한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한편 이날 김민정의원은 지난 6월 발의한 ‘그래핀산업 지원 및 육성조례’에 대한 본회의 부결 이후 공론화 과정에서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고소를 당했으나 최근 ‘혐의없음’결론이 내려진 것과 관련 해당 의원에 대한 법적 대응에 나설 뜻을 밝혔다.

또 이번 사태와 관련 의회내에서 발생한 상황이 법적 조치로 비화되는 관행을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한 다며 의회의 기준과 대응 원칙을 명확히 정리해 줄 것을 촉구했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