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고용 절벽이 강고해지고 있다. 올해 2분기 20~39세 임금근로 신규 채용이 240만8000개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8년 이후 최저다. 불과 1년 새 12만 개의 청년 일자리가 사라졌다. 2018년과 비교하면 50만 개가 증발했다. 제조업과 건설업에서만 8만 개가 감소하며 전체 하락분의 70% 가까이 차지했다. 청년층이 사회로 진입하는 통로가 급속히 좁아지고 있는 것이다.

최근 정부는 대기업과 함께 ‘채용 확대’를 공언해 왔다. 그러나 정작 청년 채용은 줄어들고 있다. 기업의 채용 방식이 정기채용에서 수시·경력직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청년층이 처음부터 경쟁에서 배제되는 구조가 강화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반 인력 효율화 또한 기초 일자리 수요 자체를 줄이고 있다. 이는 일시적 경기 요인을 넘어 산업 구조와 노동시장 전반의 구조적 변화를 의미한다.

더 큰 문제는 취업에 성공해도 고용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20~30대 임금근로자 811만 명 중 비정규직이 257만 명, 비율로 치면 31.7%나 된다. 2004년 이후 최고치다. 특히 기간제 비율은 10년간 12.7%에서 19.6%로 치솟았다. 청년들이 ‘취업’에 성공한다 해도 ‘안정된 직장’이라는 목표가 더욱 멀어지고 있는 셈이다.

문재인 정부는 2017년 집무실에 ‘일자리 현황판’을 설치해 부처별 고용 정책을 실시간으로 점검하기도 했다. 당시 비판도 있었지만 최소한 “정부가 매일 무엇을 하고 있는지 보이게 하겠다”는 정치적 메시지는 분명했다. 지금 청년들이 겪는 고용 충격은 그때보다 훨씬 더 구조적이고 심각하다. 지금 정부도 일자리 현황판이라도 내 걸어야 하는 것 아닌가.

청년 일자리 복합위기를 관리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상시 모니터링 체계가 필요하다. 정부가 지난 21일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 회의를 열어 청년층 고용부진 장기화가 산업·인구 구조 변화, 노동시장 요인, 경기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진단했다고 한다. 원인을 파악한 만큼 정부는 청년 선호 산업에 대한 투자와 함께 기업의 청년 채용을 유도하는 구조적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청년들이 절감하고 있는 고용절벽의 높이를 낮추는 구체적 정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