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세·소규모 건설현장 사고 집중…50인 미만 사업장 사망자 10% 넘게 증가
노동당국 “4분기 중점 점검·취약 분야 특별대책 추진…추락·소규모 현장 집중 관리”

▲ 고용노동부 청사.연합
▲ 고용노동부 청사.연합

경북·대구지역 산업재해 사망자 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지방고용노동청은 전국지방고용노동관서 8곳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감률을 기록했다.

25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5년 3분기 산재 현황 부가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경북·대구지역 내 재해조사 대상 사망자는 총 68명이다.

경북에서 52명, 대구에서 16명이 각각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39명)보다 29명(74.4%) 늘었다.

특히 경북은 경기(93명)에 이어 두 번째로 사망자 수가 많았다.

전국적으로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증가 추세다.

올해 9월까지 산업현장에서 사고로 숨진 근로자가 457명으로 지난해(443명)보다 14명(3.2%) 증가했다.

노동 당국은 대형 사고를 비롯해 영세사업장에서 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산업재해 사망자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3분기 기준 산재 사망자는 2022년 510명에서 2023년 459명, 지난해 443명으로 감소세를 유지했지만, 올해는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됐다.

업종별로 건설업(46.6%)에서 산재 사망사고가 집중됐다.

건설업 산재 사망자는 210명으로 지난해(203명)명보다 7명 늘었다.

특히 공사금액 5억 원 미만 소규모 건설 현장에서의 산재 사망자 수가 지난해 72명에서 올해 91명(26.4%)으로 급증했다.

기타 업종에서도 산재 사망자(128명)가 전년(106명)보다 22명(20.8%) 늘면서 큰 증가 폭을 보였다.

규모별로는 상시 근로자 50인 미만(공사 금액 50억 원) 사업장에서의 사망자 수가 늘었다.

올해 9월까지 사망자 수는 275명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26명(10.4%) 증가했다.

반면,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사망자가 182명으로 전년 대비 12명(6.2%) 줄었다.

노동 당국은 전국적으로 산재 사망자가 늘어남에 따라 4분기(10월∼12월)에는 중대재해 감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취약 분야를 중심으로 산재 예방 활동을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추락사고 등 세부 분야에 대한 특화된 정책을 마련하고, 소규모 사업장의 산재 예방 활동 강화를 위해 지방 노동관서와 지자체 간 합동점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유경 기자
이유경 기자 lyk@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