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서 기술세미나·전시 총괄…산업-학계 연계 인재양성 강화
RISE 기반 모빌리티혁신대학 협력 확대…지역 미래차 경쟁력 견인
대구가톨릭대학교(총장 성한기)가 경상북도의 미래 모빌리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앞장섰다. 대구가톨릭대는 지난 18일 경주 라한셀렉트 컨벤션홀에서 경상북도, 경주시, (재)경북테크노파크와 함께 ‘2025 경북 글로벌 미래모빌리티 포럼’을 개최하고, 부대행사인 기술세미나와 전시를 주관하며 경북 미래차 산업 성장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의 장을 마련했다.
‘경주-글로벌 모빌리티 혁신-연결과 자율의 시대’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경북 모빌리티 산업의 발전 방향과 지역 특성에 기반한 전략적 허브 조성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장에는 △모빌리티혁신대학관, △모빌리티관, △우수기업 홍보관 등 전시 공간이 조성돼 미래차 기술과 산업 동향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됐다. 특별 강연과 초청 강연, 정책 토론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글로벌 산업 트렌드와 지역 전략이 함께 논의됐다.
대구가톨릭대는 부대행사인 ‘2025 경북 글로벌 미래모빌리티 포럼 기술세미나 및 전시’를 주관하며 산업계와 학계를 잇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기술세미나에는 교수와 기업 전문가 등 4명의 연사가 참여해 미래차 부품 신기술과 자율주행, 현장 인재상 등 최신 이슈를 중심으로 강연을 진행했다.
기술세미나 후 이어진 졸업생 특강에서는 △세원테크, △일지테크, △화신정공, △에스엘 등 주요 모빌리티·부품 기업에서 활동 중인 동문들이 취업 과정과 직무 경험을 공유했다. 이들은 “현장에서는 기본기와 문제해결력이 핵심”이라고 강조하며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조언을 건넸다.
기술세미나와 특강에서 다뤄진 산업 현장 중심의 내용은 경상북도 RISE 사업을 통해 추진 중인 모빌리티혁신대학(MII, Mobility Innovation Institute)의 실무형 교육 방향과 직접적으로 연계된다. MII는 대구가톨릭대, 영남대, 대구대가 함께 참여하는 연합대학으로, 디지털 전환·혁신 부품·친환경 배터리 분야에서 1980명의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구가톨릭대는 이 가운데 모빌리티 디지털 전환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지역 산업 수요에 맞는 인재를 배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윤현중 대구가톨릭대 RISE모빌리티디지털전환사업단장은 “이번 포럼과 기술세미나, 전시 참여를 통해 학생들이 글로벌 모빌리티 산업의 흐름을 몸소 체감하고 자신의 진로 방향을 구체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특히 대구가톨릭대 기계공학과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모빌리티혁신대학의 교육 역량과 비전을 널리 알릴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