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경된 졸업학점 규정 제대로 안 알려 18학번 5명 졸업장 못 받아
교수·교직원 재수강 등록금 마련 조건으로 각서까지 쓰게 해 공분
특히 학사관리의 책임을 해당 학생들에게 떠넘기면서 대신 한 학기 더 수강하는데 드는 등록금을 이번 사태가 벌어진 관계자들이 마련해주겠다는 각서까지 쓰게 해 공분을 사고 있다.
13일 졸업을 앞둔 18학번 재학생 등에 따르면 졸업을 20여 일 앞두고 5명의 학생이 지난달 24일 학교 측으로부터 졸업을 위한 최저 이수 학점을 채우지 못해 졸업을 불가능하다는 통보를 받았다.
졸업을 못 하게 된 5명의 음악과 학생들은 학과 홈페이지에 게시된 졸업학점 관리 안내표에 나온 대로 졸업 이수 학점을 모두 채웠다.
하지만 학교 측은 18학번부터 적용되는 개정된 전공선택 최저 이수학점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
기존 이수해야 할 졸업학점 130점 이상 중 전공 60학점(전공필수 12, 전공선택 48 이상)이 72학점(전공필수 12, 전공선택 60 이상)으로 전공선택이 12학점 올랐는데 최근까지 기존의 60학점으로 안내한 것이다.
이 때문에 18학번 21명 중 24%에 해당하는 5명이 오는 18일 예정된 학위수여식에 졸업장을 받지 못하게 된 처지에 놓였다.
학교 측의 황당한 학사관리는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졸업장을 못 받게 된 학생들이 한 학기 더 학교에 다니게 될 상황에 놓이자 학교 측은 이번 사태에 직·간접적으로 책임이 있는 교수와 교직원들이 등록금을 마련해 줄 테니 모든 책임은 학생에게 있다는 내용의 각서에 서명해달라고 했다.
문제의 기간에 재직한 학과장과 조교 등 모두 7명이 나눠 등록금을 부담하기로 하고 해당 기간 2년간 조교를 맡은 A 씨는 다른 관련자들보다 2배 더 부담한다는 내용이다.
특히 각서 마지막에는 ‘위의 내용은 공개하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을 담아 이 같은 황당한 사태를 외부에 공개하지 못하도록 단속하기도 했다.
안동대 측은 “변경된 졸업학점 규정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했다는 점은 인정한다”며 “5명의 학생을 구제할 방법을 찾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2월 졸업이 불가해 1학기를 더 수강해야 하는 상황이라 학생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