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률 98.9% 달성했지만 절반 이상이 화학약품 사용에 의존
박용선 도의원 “기준 부재·예산 부족 원인…친환경 소독 가이드라인 시급”

▲ 박용선 도의원
▲ 박용선 도의원

경북도의회 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놀이시설 소독의 질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박용선(포항) 의원은 지난 7일 감사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소독률은 98.9%에 이르지만, 절반 이상이 여전히 약품 소독에 머물러 있다”며 “양적 성과보다 친환경 전환 속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학교의 놀이시설 소독 방식 중 약품 소독이 50.4%로 가장 많았고, 고온스팀 소독은 16.8%, 두 방식을 병행하는 곳은 23.5%로 집계됐다. 결과적으로 친환경 방식 전환율은 40.3%에 그쳤다.

또 소독 주기도 학교마다 큰 차이를 보였다. 일부 학교는 반기 1회(1.8%)나 연 1회(2%)만 소독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하루에도 여러 차례 아이들이 이용하는 시설을 1년에 한 번만 소독하는 것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조치”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지난해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약품 소독의 잔여물 위험과 사용 제한 필요성을 지적하며 고온스팀 등 친환경 방식으로의 전환을 요구한 바 있다. 그러나 1년이 지난 지금도 개선 폭이 크지 않은 점을 들어 “기준 부재와 예산 부족, 학교별 관리 편차가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박 의원은 “이제는 ‘소독을 했느냐’보다 ‘어떤 방식으로 했느냐’가 핵심 기준이 되어야 한다”며 “교육청은 친환경 소독을 위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현장 이행을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양승복 기자
양승복 기자 yang@kyongbuk.co.kr

경북도청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