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집행률 50% 미달·재원조달 불투명… “기부대 양여 방식 한계 드러나”
K-2 후적지 개발계획도 표류… “두바이식 개발 구상 전면 재검토 필요”
대구시의회가 행정사무감사에서 “대구경북신공항 건설이 추진동력 잃었다”며 이구동성 비판을 했다.
대구시가 2024년 대구경북신공항 건설용으로 확보한 예산 170억원 가운데 50%도 사용하지 못한데가다 사업추진방식도 국비로 할 것인지 여부 등 재원조달 방안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군부대(K-2) 후적지 개발구상 종합계획’도 구체화 하지 못한채 전면 재검토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나웅진 대구시 신공항건설단장은 “기부대 양여로 추진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국가(국비)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으며, 후적지 개발계획은 마스터 플랜단계로 아직 구체적인 계획을 만들지는 못했다”고 밝혔다.
대구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10일 대구시 신공항건설단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TK신공항건설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방안들을 점검했다.
나웅진 대구시 신공항건설단장의 업무보고에 이어 첫 질의에 나선 김지만 위원(북구2)은 “예산(신공항 건설에 따른)이 2023년 110억 원중 집행률이 55.6%에서 지난해에는 169억 원 가운데 집행률이 47.8%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면서 이유를 따져 물었다.
김 위원은 “신공항 건설단의 조직은 처음 출범할 당시(2016년 10월)보다 현재 1단 2국 6과에 67명으로 2배 이상 커졌다면서 규모는 커지고 예산은 증가됐는데, 한 일은 별로 없다”고 목소리를 높이면서 기부대 양여 사업이 아닌 국가사업으로 추진할 것을 강력 촉구했다.
김정옥 위원(비례대표)은 “K-2 후적지 개발 계획 발표 당시, 24시간 불켜진, 두바이식 개발을 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이에 따른 로드맵이나 실행계획이 없다”면서 후적지 개발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동욱 위원(북구5)은 이주단지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과 신공항 예정지역 내 지장물 기본조사 등 이주 및 보상을 위해 현재 진행 중인 절차가 조속히 마무리 할 것을 주문했다.
조경구 위원(수성구2)은 TK신공항 추진과 관련해 기부 대 양여 방식의 한계를 언급하며 관계부서와의 적극적인 협의를 촉구했다.
임인환 위원(중구1)은 대구국제공항 운영 상황을 점검하며 국제선 수요가 코로나 이전 대비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는 점을 지적했다.
허시영 위원장(달서구2)은 신공항 건설사업이 국책사업으로 선정돼 재정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정부, 국회, 시의회를 비롯한 관계기관과의 적극적인 협력과 노력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