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연구원 AI 전략 부재·바이오산업연구원 규정 차별 지적
“성과 중심 책임경영·투명 행정으로 도민 신뢰 회복해야”
경북도의회 박선하(비례) 의원은 2025년도 출연기관 행정사무감사에서 경북연구원,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경북신용보증재단, 경상북도경제진흥원을 대상으로 기관 운영의 비효율성과 청렴도 문제를 지적하며, 책임경영과 구조적 개선을 강력히 요구했다.
박 의원은 우선 경북연구원 감사에서 “정부의 AI 인프라 구축이 본격화되는 시점에서 경북은 원전 전력 등 지역적 강점을 활용한 AI 특화 전략이 부재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5극 3특 체계’ 내에서 경북이 독자적 위상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을 촉구했다.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감사에서는 정관·규정 운영의 불합리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1000쪽이 넘는 방대한 규정집으로 인한 예산 낭비를 지적하고, 정관 제6조의2 ‘임원 해임사유’ 중 ‘신체장애 또는 기타사유’ 표현을 차별적 조항으로 규정하며 즉각적인 개정을 요구했다.
경북신용보증재단에 대해서는 감사 기능 미비와 청렴도 저하를 집중적으로 질타했다. 이사회 회의록에서 감사의 불출석 및 발언 부재 사례를 언급하며 “감사 기능이 작동하지 않으니 청렴도가 떨어진다”고 비판했다. 그는 감사와 이사를 책임 있는 인물로 선임하고, 필요 시 행정사무감사에 동석해 투명성을 높일 것을 제안했다. 또 단순한 보증 확대보다 저신용자·사회적 약자 중심의 맞춤형 금융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북경제진흥원 감사에서는 12억 원의 손실이 비효율적 자산 운용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유동자산 330억 원 중 260억 원이 정기예금 등 현금성 자산으로 묶여 있다”며 “금융 전문가 자문을 통한 수익성 있는 자산운용 다변화”를 제안했다. 또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신중년(39~65세) 세대를 위한 컨트롤타워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출연기관의 운영 방식과 재정 운용이 곧 경북의 미래 경쟁력”이라며 “형식적 운영에서 벗어나 성과 중심의 책임행정과 청렴성 강화로 도민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