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유출·1인가구 고독사·돌봄 공백 대응 시급”
문화복지위 “시민 삶의 질 높이는 종합 복지체계 구축해야”
대구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는 11일 청년여성교육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청년정책의 실효성 제고와 급증하는 1인 가구에 대한 지원체계 및 고독사 예방 대책 등이 주요 이슈로 제기됐다.
박창석 위원장(군위군)은 대구시 청년 유출이 지속되는 가운데, 청년 유출의 원인과 현행 청년정책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대구시 맞춤형 청년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하병문 위원(북구4)은 “다양한 가족 형태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대구시의 가족지원 정책이 여전히 전통적 가족 중심에 머물러 있다”면서 급증하는 1인 가구에 대한 지원체계 및 고독사 예방 대책 마련하라고 질타했다.
이재숙 의원(동구4)은 저출생 극복을 위한 공공 산후조리원 구축 계획을 물어보고 지역별 산후조리 인프라 격차에 따른 개선 방안 마련을 당부했다.
하중환 위원(달성군1)은 대구시의 돌봄 공백 실태와 비상·야간 돌봄 대응체계의 구축 여부를 점검하고, 위기가정 발굴과 통합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부모가 안심하고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촘촘한 공공 돌봄체계 마련을 요구했다.
김재우 위원(동구1)은 대구시의 워라밸 지수 하락을 꼬집으며, 가족친화기업 확대와 실효성 있는 지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키즈오케이존’ 확산 등 다양한 아동친화 환경 조성을 통해 가족이 행복한 도시 구현을 당부했다.
정일균 위원(수성구1)은 대구시 아동양육시설의 운영 실태와 인권·심리지원 체계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보호종료아동(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지원 규모와 자립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미비점을 지적하면서 실질적 자립지원 체계 마련을 요청했다.
김주범 위원(달서구6)은 건립된 지 30년이 넘은 청소년수련시설의 노후화에 따른 기능보강 사업의 문제점과 대구시의 아동보호구역 지정이 뒤늦게 추진된 점을 지적하면서 CCTV 확충 등 실질적 아동 안전망 구축을 위한 경찰·교육청·구군 협력체계 구축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