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지원만으로 한계… 출산·양육 환경 사회적 책임으로 전환 필요”
‘아이 동반 사무실’·공공산후조리원 등 실질적 정책 도입 촉구

▲ 김소은 대구 수성구의원
▲ 김소은 대구 수성구의원

대구 수성구의회 김소은 구의원이 지역 내 저출생 극복을 위한 종합대책 마련을 집행부에 촉구했다.

11일 열린 제273회 제2차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에 나선 김 구의원은 저출생 극복이 사회 전체의 책무인 점을 강조하면서도 수성구부터 변화를 실천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 이면에 수많은 젊은 세대가 주저하고 있는 결혼과 출산 문제가 지속하는 상황이라며 경제적 부담과 불완전한 양육 환경이 주요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현금성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출산을 개인의 부담이 아닌 사회의 책임으로 전환해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출생 극복을 위한 방안으로는 △방학기간 중 직원이 자녀와 함께 출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아이 동반 사무실’ 제도 도입 △시차출·퇴근제 도입 기업 지원금 확대 등 가족친화기업 지원 강화 △중소기업 근로자를 위한 공동 직장어린이집 확충 등을 제시했다.

또 공공인프라 구축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도시계획 조례를 개정해 기부채납 범위를 ‘공공산후조리원’, ‘공공예식장’, ‘공공키즈카페’ 등 출산·육아 관련 시설로 확대한 서울을 예로 들었다. 저출생 대응을 위해 관련 제도가 논의될 수 있도록 수성구청에서도 적극 나서야 한다는 얘기다.

김소은 구의원은 “작은 변화부터 실천해 수성구가 저출생 극복의 희망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전재용 기자
전재용 기자 jjy8820@kyongbuk.com

경찰서, 군부대, 교통, 환경, 노동 및 시민단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