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탁사업 확대 속 재위탁 난립·펀드 성과 미흡·회계·근태 문제까지 지적
장비 가동률 저하·지역 편중·조직개편 필요성 제기…“균형발전·미래산업 대응 강화해야”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는 지난 11일 경산 경북테크노파크(경북TP) 회의실에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하고, 기관의 경영·사업·인사 전반에 대한 실태를 면밀히 점검했다.
이날 위원들은 경북TP가 수탁사업 중심으로 운영되며 본연의 기능이 약화되고 있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했다. 특히 수탁사업이 늘면서 재위탁이 반복돼 사업의 실효성과 책임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선희 위원장은 “재위탁 과정에서 관리 기준이 불명확하다”며 “재위탁 관리지침 제정과 사전 승인 절차 강화, 그리고 펀드운용 전문 인력 확보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경북TP는 현재 13개 펀드(총 4145억 원)를 운용 중이나 성과 분석이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손희권(포항) 부위원장은 “출장비 부정사용 등 일부 직원의 일탈이 여전하다”며 “공무원보다 느슨한 징계 기준은 부당하다”고 비판했다. 또 “영남대가 당초 무상 제공하기로 한 부지 사용을 매번 임대료로 협상하는 것은 문제”라며 “영남대 총장이 TP 공동이사장으로 협상에 참여하는 구조 자체가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김창혁(구미) 의원은 “정부의 ‘5극3특’ 산업전략에서 경북 주력산업이 배제된 것은 정책 대응 실패”라며 “TP가 기술창업 지원에 집중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김홍구(상주) 의원은 “미래전략사업이 특정 지역에만 집중됐다”며 시군 간 균형발전 방안 마련을 촉구했고, 박선하(비례) 의원은 “당기순손실이 50억 원에 달한다”며 상근감사제 도입과 자금관리 효율화를 요구했다.
이칠구(포항) 의원은 “김천·영천 등 일부 지역은 장비 가동률이 50%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유휴공간을 기업활동 공간으로 개방하고,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병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임병하(영주) 의원은 “감사기능 강화가 미흡하고 회계 부실이 여전하다”며 실질적인 조직개편을 주문했고, 최태림(의성) 의원은 “지난해 원장의 리더십에 대한 지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직원 근태관리와 회계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명강 의원은 인권경영위원회 외부위원 비율 부족과 연구원 주거환경 개선 필요성을 언급하며, “미래차 산업 전환에 선제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