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포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인근 51만㎡ 신청…연구 인프라·주민 수용성 ‘강점’
전문가 전략회의 개최…“핵융합 R&D·산업화 최적지, 공모 대응 총력”

▲ 17일 경주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핵융합 첨단인프라의 경주 유치 성공을 위한 핵융합 전문가 전략회의에 앞서 참석자들이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 17일 경주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핵융합 첨단인프라의 경주 유치 성공을 위한 핵융합 전문가 전략회의에 앞서 참석자들이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국가 핵융합 연구시설 부지 선정 경쟁이 본격화한 가운데 경북도가 경주 유치를 위한 전략 점검에 들어갔다. 경북도는 17일 경주시청에서 핵융합 첨단인프라의 경주 유치를 위한 전문가 전략회의를 열고 공모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포항공과대와 한동대를 비롯해 원자력연구원, 재료연구원, 경북연구원 등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 중인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 사업의 부지 공모에 대응하기 위해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고 유치 전략을 점검했다.

경주시는 지난 13일 공모에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신청 부지는 감포읍 문무대왕과학연구소 2단계 부지 약 51만㎡ 규모다. 해당 지역은 산업단지로 이미 계획돼 있어 연구시설 건립과 착공이 비교적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포항공대와 한동대는 핵융합 8대 핵심기술 중 노심 플라즈마 제어와 혁신형 디버터 같은 주요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전문 연력 양성 기반도 갖추고 있다. 내년 완공 예정인 문무대왕과학연구소와 인접한 점도 연구시설 집적 효과와 장비 활용, 연구인력 확보 등에 유리한 요소로 평가된다.

경주는 소형모듈원자로(SMR) 연구·제작지원 체계와 국가산업단지 조성 추진 등 관련 기반을 마련해 왔으며, 원전과 방폐장이 위치한 지역 특성상 삼중수소를 사용하는 핵융합 연구에 대한 주민수용성도 높은 편이다. 포항·울산·부산과 가까운 지리적 여건 역시 연구개발과 산업화 연계를 위한 장점으로 꼽힌다.

경북도는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현장조사와 발표평가 등 남은 공모 절차에 적극 대응하고 도내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경북에는 핵융합 연구를 수행하는 주요 대학과 연구기관이 집적돼 있다”며 “경주는 핵융합 연구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최적의 입지를 갖춘 만큼 유치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양승복 기자
양승복 기자 yang@kyongbuk.co.kr

경북도청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