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규모 7.0 내진설계 기반 시설 다수…“장기 운영 경험이 경쟁력”
문무대왕과학연구소·양성인력·지역 대학 연계로 “국내 유일 시너지 가능 도시”

▲ 경주시가 정부의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 부지 선정 발표가 가까워짐에 따라 지역의 원자력 인프라와 지질·내진 안전성을 내세워 입지 경쟁력을 강조하고 나섰다. 사진은 경주시청사 전경
▲ 경주시가 정부의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 부지 선정 발표가 가까워짐에 따라 지역의 원자력 인프라와 지질·내진 안전성을 내세워 입지 경쟁력을 강조하고 나섰다. 사진은 경주시청사 전경

경주시가 정부의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 부지 선정을 앞두고, 지역이 보유한 고도의 지질·내진 안전성과 원자력 산업 인프라를 핵심 경쟁력으로 강조하며 유치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신청 지자체 현장실사와 발표평가를 거쳐 이달 말 최종 후보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경주시는 평가의 핵심 항목인 ‘부지 만족 및 적합성’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지역의 지질 안정성이 이미 다양한 국가 기반시설 운영을 통해 입증되었다는 점을 부각하고 있다.

실제로 경주에는 월성원전과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맥스터) 등이 규모 6.5에서 7.0 수준의 내진 설계를 적용받아 장기간 안정적으로 가동되고 있다.

또한, 양성자가속기 등 고도의 내진 설계가 필요한 시설들이 다수 위치하며, 이는 동해안 원전 전체(20기)가 동일한 수준의 내진 기준으로 운영되는 것과 궤를 같이한다. 경주시는 이러한 장기 운영 경험이 지질 안전성을 입증하는 강력한 근거라고 강조했다.

경주시는 핵융합 연구시설이 기존 원자력 생태계와 연계돼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도시라는 점도 내세웠다.

경주 감포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일원에서는 교육용 원자로 설치와 글로벌원자력공동캠퍼스 조성이 추진 중이다. 이는 핵융합 연구 결과를 원자력 산업 전반에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인근의 원전현장인력양성원은 기능부터 전문인력까지 단계별 양성 체계를 갖추고 있다. 또한 포스텍, 한동대, UNIST 등 지역 대학들과의 연구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연구 및 인재 양성 분야에서의 연계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핵융합 연구시설은 미래 국가 에너지정책의 핵심 사업으로, 기존 원자력 생태계와의 연계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경주가 가진 지질 안정성, 기존 인프라, 전문 인력 기반이 사업 목적에 가장 부합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경주시의 핵융합 시설 유치 결과는 이달 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최종 발표를 통해 결정될 예정이다.

황기환 기자
황기환 기자 hgeeh@kyongbuk.com

동남부권 본부장, 경주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