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조기 발굴·맞춤 지원 체계 구축…본회의 의결만 남아
“연 7조5천억 사회적 비용…지역 차원의 보호·회복 구조 절실”
대구 수성구 지역 내 고립·은둔 청년의 조기 발견과 체계적 지원을 위한 근거가 마련된다.
24일 수성구의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정대현 구의원과 국민의힘 김경민·박새롬·백지은 구의원이 공동발의한 ‘대구 수성구 사회적 고립·은둔 청년지원에 관한 조례안’이 이날 열린 제273회 제2차 정례회 상임위원회를 통과했다.
수성구의회 청년의원들은 청년층의 고립 현상을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투입되는 각종 사회적 비용과 복합적 문제 유발 등을 고려해 지원 근거 마련에 나섰다.
해당 조례안에는 △사회적 고립·은둔 청년의 정의 △기본계획 수립 △실태조사 △사회적 고립·은둔 청년의 발굴 △지원사업 △민간전문가 활동 등이 담겼다. 지역 내 고립·은둔 청년을 빠르게 발견해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반 마련에 중점을 둔 조례안이다.
조례안은 오는 27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통과될 예정이다.
정대현 구의원은 청년층의 고립 현상은 개인의 외로움을 넘어 심리적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 등 복합적 문제로도 확산하는 요인이라며 지난 2023년 청년재단에서 실시한 ‘청년고립의 사회적 비용’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보면, 청년 고립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은 연간 약 7조5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청년이 어려움을 부담 없이 밝힐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조기 발굴과 맞춤형 지원이 가능해지고, 지원체계를 구축해 청년이 건강하게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